파이토치 코드를 보면 transpose()를 호출하고 바로 contiguous()를 호출하는 경우가 종종 목격된다.그 이유는 transpose()가 실제로는 스토리지 내의 데이터의 배열을 바꾸지 않고 stride만 바꾸기 때문이다. PyTorch Storage가 뭔가?텐서란 쉽게 말해 N차원 행렬이다.이 고차원의 데이터는 Storage API를 통해서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된다.파이썬 리스트의 경우, 배열 내의 항목들이 불연속적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이를 포인터만 가지고 PyObject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으로 접근되게 된다.그러나 딥러닝에서는 GPU 등의 가속기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가속기들은 사용하는 텐서를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PyTorch 등의 딥러닝 라..